건조해지는 실내에 수분을 채우기 위해 가습기가 필요한 계절 겨울이 왔습니다. 지난 2020년 11월 7일(토) 입동을 맞아 본격적으로 춥고 건조한 계절이 시작됐는데요, 일교차가 심해 창문을 닫고 실내 온도를 올리기 위해 보일러, 온열기 등을 사용하며 실내 공기에 수분이 점점 메말라가고 있습니다. 오늘은 건조한 실내 수분을 채우기 위한 필수품 가습기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가습기는 겨울철 건조해지는 공간에 쾌적한 생활을 위해 수분을 채워주는 기구로 사람몸은 적절한 수분이 없는 공간에 오래 있으면 각종 질병 걸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실내가 건조해지면 먼저 기관지의 점액이 말라 호흡기 질환을 초래할 수 있으며, 피부의 수분을 공기 중에 뺏겨 간지러워지고 예민해질 수도 있습니다. 입안이 말라 구취를 유발할 수도 있으며 수면 중 목이 말라 잠에서 깨는 경우도 있습니다. 적절한 습도가 지켜져야 원활한 생활이 이뤄지니 실내 습도를 지켜줄 가습기 꼭 잘 알아보고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 자연기화식 가습기
자연기화식 가습기는 겨울철 방안에 빨래를 널어 가습기를 대신하는걸 생각하면 됩니다. 기화되기 좋은 물체에 수분을 공급시켜 자연스럽게 수분을 증발시키는 방식입니다. 부직포나 필터 등에 지속적으로 수분을 공급하며 선풍기 같은 팬을 돌리는 방식으로 공기청정효과까지 노릴 수 있습니다. 가습량이 적고 필터를 교체하거나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나 소음의 적고 세균 번식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3
2. 가열식 가습기
어릭적 겨울철엔 난로 위에 주전자를 올려 주전자에서 수증기가 뿜어지게 만드는 광경을 많이들 보셨을 겁니다. 이것이 바로 물을 가열시켜 뜨거운 스팀을 공기 중에 분사시키는 가열식 가습입니다. 가열식 가습기는 물을 아주 뜨겁게 끓이기 때문에 세균 감염에 대한 우려도 없고 가습과 더불어 실내 온도를 올릴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가습기에 비해 전기세가 많이 나가는 편이며 화상 위험이 있고 소음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3. 초음파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는 물통 내부에 위치한 진동자로 물을 진동시켜 수분을 공기중으로 배출시키는 방식입니다. 수분 배출량도 높고 전기세도 적게 나오고 구조도 간단해 가장 많은 제조사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물통이나 수조가 세균으로 오염되어 있는 경우 세균을 걸러줄 수 있는 필터 같은 게 없기 때문에 진동자와 물통을 매일 세척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4. 복합식 가습기
가열식 가습기와 초음파식 가습기의 기능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으로 따뜻하게 데운 물을 진동자를 이용해 대기 중에 스팀을 분사해줍니다. 스팀의 가열식을 켜거나 끄고 사용해 스팀의 온도를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가열식이기 때문에 전기세가 많이 나오며 가열식만 사용하는 제품 만큼 가열되지 않아 완벽한 살균이 이뤄지지 않기 때문에 매일 세척하고 필터를 신경 써줘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두 가지 방식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가지고 있습니다.
듀플렉스 가습기 DP-9990UH / 초음파식 가습기
오픈마켓에서 저렴한 가격인 3만원대 초반에 구매가 가능하며 4리터 대용량 물통으로 물을 한 번 채우면 오래 사용할 수 있고 조용하게 많은 수분을 대기 중에 배출시킬 수 있습니다. 물통이 크고 손잡이가 달려있어 분리하기도, 세척하기도 편하며 작동 중에도 편리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는 상부급수도 가능합니다. 시간당 300ml를 분사할 수 있고 연속해서 16시간 동안 작동시킬 수 있으며 가습량 조절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식 가습기라 하루에 한 번은 물통을 세척해야 하지만, 물통이 크고 분무량도 많고 소음도 적고 가격도 저렴한 것이 장점입니다.
위닉스 가습기 WLTM750-JWK / 복합식 가습기
오픈마켓에서 약 13만원 정도에 구매할 수 있는 가습기로 동종 제품 중 고가의 제품입니다. 가열식과 초음파식을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복합식 가습기로 7.5리터의 대용량 물통으로 시간당 400cc까지 가습이 가능하며 LightCel UV+LED 살균기술로 세균 걱정을 덜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수조의 물을 약 50도까지 가열해서 스팀을 뿜어낼 수 있으며 물통이 손잡이가 달렸고 상부급수가 가능하며 360도 회전이 가능한 트윈노즐이 장착되어 있습니다. 살균이 되긴 하나 그래도 물통은 매일 세척해줘야 합니다.
건강과 생활의 쾌적함을 위해 습도 조절은 필수인 요즘 좋은 가습기를 선택해 모두 촉촉한 겨울이었으면 좋겠습니다. 매일매일 물통과 부품을 청소해야 세균 증식도 막고 가습기 자체의 수명도 지켜줄 수 있습니다.
'이슈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따뜻한 국물이 생각나는 싸늘한 겨울, 화제의 라면 레시피 순두부 열라면을 끓여봤습니다. (0) | 2020.11.09 |
---|---|
셀트리온, 셀트리온 헬스 케어, 셀트리온 제약의 관계 및 돌풍의 원인은? (0) | 2020.11.09 |
제2의 덮죽사태 재발하나, 부산 겐짱카레 상표권 및 임금체불, 권리금, 성추행... (0) | 2020.11.07 |
아이폰12 프로 맥스 출시일 확정, 사전예약은 13일부터 출시는 20일 (0) | 2020.11.06 |
샤이닝니키 한복 착장 아이템으로 인한 잡음으로 서비스 종료. 설마 동북공정작업이었나?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