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News

샤이닝니키 한복 착장 아이템으로 인한 잡음으로 서비스 종료. 설마 동북공정작업이었나?

아이러브니키의 3D 후속작 샤이닝니키가 2020년 10월 29일 출시 후 일주일 만인 11월 5일 국내 서비스 종료 공지가 안내되었습니다. 전작인 아이러브니키는 여성향 걸 플레잉 게임으로 잦은 문제가 있음에도 꾸준히 서비스되었는데요, 도재체 어떤 문제가 있어서 출시하자마자 서비스 종료를 결정하게 됐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아이러브니키 후속작인 샤이닝니키

 

 

 

아이러브니키, 샤이닝니키는 중국의 거대 자본 개발사 텐센트의 개발작으로 아이러브니키는 아이러브커피 시리즈로 유명한 파티게임즈와 카카오가 함께 유통했었습니다. 샤이닝니키는 페이퍼게임즈가 단독으로 국내에 운영, 유통했었으며 하나의 중국을 외치는 외국계 중국 회사입니다.

출시 직후 한국에만 서비스 종료 공지를 내걸었는데요, 사실 출시 직후 부터 탈퇴처리 해주지 않고 미루기만 했으며 무료로 게임을 즐긴 사람은 본인인증이 없으니 아이템을 구매한 후 탈퇴하라는 대응이 있어 문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결정적인 이유는 게임 내 한복 착장 아이템을 출시하고 한복이라는 의복이 중국 것이니 한푸로 표기하라는 중국 내 유저들의 항의로 문제가 발생합니다.

문제의 한복 아이템

한복 아이템이 한국에만 한정적으로 풀린 것이 아니라 중국, 대만서버에도 동일하게 풀리며 논란이 일어난 것입니다. 중국 유저의 항의에 게임사는 중국 유저들의 의견을 들어주며 사과했고, 이를 알게 된 한국 유저는 공정치 못한 게임사의 대응에 반발했으나 게임사는 별도의 사과 없이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결정합니다.

 

 

 

 

 

 

 

 

 

 

 

 

 

 

요즘 중국은 동북공정의 일환으로 김치와 한복 등이 중국의 전통이며 문화라는 이상한 주장으로 한국사람을 황당하게 만들고 있는데요, 세계적인 가수로 발돋움한 BTS나 넷플릭스 킹덤 등이 유행하자 자격지심에 이상한 방향으로 치닫고 있는 것 같습니다.

워킹데드로 대표되는 좀비물이 미드에서 콘텐츠화되어 유행하자 한국에서는 넷플릭스의 지원을 받아 킹덤이라는 한국형 좀비물을 2019년 1월 25일 공개했습니다. 공개 후 타국과는 다르게 아주 재빠른 한국형 좀비와 한국 전통 복장에 대해 전세계 많은 사람들의 극찬이 이어졌습니다.

넷플릭스 킹덤

 

 

 

특히 전통의상과 외국인 입장에선 독특한 모자로 보이는 갓이 유행하며 아마존에서는 실제로 한복과 갓의 판매랑이 급격하게 늘었다고 합니다. 전통의상인 한복은 단아하면서 화려하고 멋있다고 하고, 갓은 다양함과 신기한 모양새라며 갖고 싶어 했습니다. 한국을 좋아하는 외국인에게는 잇 아이템으로 불리며 피규어를 모으는 것처럼 갓을 모으는 사람도 방송에 나오곤 했습니다. 

킹덤에서 각광받은 한복과 갓



 

 

갓에 감명받은 외국 디자이너는 패션쇼의 아이템 중 하나로 갓을 사용해 패션쇼를 진행하기도 했습니다. 중국입장에선 한복도 갓도 모두 중국에서 건너간 아이템인데 한국 아이템으로 소개되고 각광받는 게 너무 배가 아팠나 봅니다.

갓을 테마로한 패션쇼

 

 

 

 

 

그런 이유에서인지 중국의 과거를 보여주는 드라마의 착장이 한국 드라마를 따라하게 되고 일러스트에 사용되는 중국 전통의상 모습도 마치 한복과 비슷하게 그려지게 됩니다. 중국 고대 스타일이라며 그린 일러스트에는 한복을 힙하게 입은 캐릭터가 그려지고, 관련 자료로 고대 중국의 의복을 참고했다는 변명도 늘어놨습니다.

고대 중국 복장 일러스트

 

 

 

 

 

어떤 유튜버들은 한푸는 한복과 다르다며 영상을 올리기도 하는데요, 현재 유행하는 한국의 한복이 원래 중국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기 때문에 어차피 한푸라며 한복이라는 단어가 틀렸다고도 합니다. 한푸는 한족의 전통의상이고 한복은 한국의 전통의상인데 다름을 인정하지 않는 촌극이라고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한푸 이즈 낫 한복

 

 

 

 

중국 고대의 의복을 보면 아래 이미지처럼 치파오 형식이 대부분인걸 알 수 있습니다. 오른쪽의 초록 상의와 빨강 치마는 원나라 말기에 고려에서 원나라로 착출당한 공녀와 환관들의 영향으로 고려양이라는 스타일로 잠깐 유행한 것으로 따지고 보면 고려 전통의상이 중국에서 잠깐 유행한 것입니다. 그 뒤로 다시 명나라, 청나라를 거치며 중국 특유의 스타일을 고수하게 됩니다. 

고대 중국의 치파오같은 복장과 고려스타일의 고려양

 

 

 

 

 

일본의 기모노도 한국의 한복도, 고구려의 역사도 모두 중국의 문화라고 억지를 부리는 중국인들. 마오쩌뚱이 10년간 진행한 문화대혁명으로 과거 중국의 역사의 대부분이 파괴되고 사라졌다 하더라도, 남아있는 역사로는 성에 차지 않는 건지 자신감이 없는 건지 계속 황당한 주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1966부터 1976년까지 진행된 문화대혁명은 낡은 문화와 낡은 사상, 낡은 풍속, 관습을 타파해 새로운 사회주의가 되자! 였으나 과거의 문화재와 역사사료 등을 모두 파괴해 고대와 근대 중국 자료가 대부분 파괴되기만 했습니다. 국공내전에서 패해 대만으로 도망가며 아주 많은 중국 문화재를 옮겨간 장제스가 아니었다면 과거 중국의 자료는 더 찾아보기 힘들었을 겁니다. 

선넘는 중국

 

 

그릇된 가치관으로 단순히 즐기는 모바일게임도 문제 삼아 서비스를 종료하게 된 샤이닝니키, 정치와 문화콘텐츠는 별개로 봐야 하는데 중국과 엮이면 자꾸 이런 식으로 진행되는 게 안타깝기만 합니다.